2025 여의도 서울세계불꽃축제 생중계 시청 방법
.png)
- 정의: 시세의 일정 비율(대략 60~80%)로 공급되는 공공임대주택
- 장점: 낮은 임대료·보증금 옵션 / 교통·생활 인프라 우수 / 유형별 장기 거주 가능 / 비교적 빠른 입주 절차
- 유형: 청년형 / 신혼부부형(예비신혼·한부모 포함) / 고령자형 / 산업단지 근로자형 등
- 청년형: 만 19~39세(대학생·사회초년생 포함), 무주택, 소득·자산 기준 충족
- 신혼부부형: 혼인 7년 이내 또는 예비신혼, 한부모가족 등, 무주택, 소득·자산 기준 충족
- 고령자형: 만 65세 이상, 무주택, 소득·자산 기준 충족
- 산단근로자형: 산업단지 재직자·입주기업 근로자, 무주택, 소득·자산 기준 충족
※ 구체 기준과 우선순위는 단지·공고마다 상이하므로 반드시 모집공고를 확인하세요.
- 소득: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대비 일정 비율 이하(유형·가구 규모별 상이)
- 자산: 부동산·예금·자동차 등 합산 자산이 상한 이하(차량가액·보유 수 등 조건 포함)
- 포인트: 연령·가구요건 + 소득 + 자산을 모두 충족해야 하며, 재계약 때도 재확인됩니다.
- 임대료: 시세의 60~80% 수준(지역·면적·단지별 상이)
- 보증금/월세: 전환형 선택 가능(보증금 상향 시 월세 인하 등)
- 거주기간: 최초 2년 + 재계약(유형별 최대 6~10년, 고령자형은 장기 가능)
- 참고 예시(체감 범위): 수도권 소형 보증금 약 2,000만 원 내외, 월세 15~25만 원 / 지방 소형 보증금 약 1,000만 원 내외, 월세 10만 원대
1) 공고 확인: LH 청약센터·지자체·서울주택도시공사(SH) 등
2) 자격 확인: 본인 유형(청년/신혼/고령/산단)·소득·자산 기준 체크
3) 온라인 신청: 회원가입 → 신청서 작성 → 자격 항목 입력
4) 서류 제출: 소득금액증명·주민등록등본·재직/재학·혼인·자산증빙 등
5) 자격 검증 & 발표: 점수/우선순위 반영 후 당첨자 발표
6) 계약 & 입주: 보증금 납부 → 동·호수 배정 → 입주 일정 확정
- 알림 설정: 인기 지역은 마감이 빠르므로 공고 알림을 걸어두세요.
- 서류 사전준비: 소득·자산 증빙 누락/오류 최소화가 핵심입니다.
- 대체 옵션 탐색: 동일 생활권의 인접 단지, 차기 모집 예정 단지도 함께 확인하세요.
- 우선순위 항목: 가구 구성·무주택 기간·근로·지역 요건 등 가점 항목을 공고문으로 반드시 체크!
- Q. 추첨인가요? 가점인가요?
A. 공고별로 우선순위·배점이 적용됩니다. 높은 경쟁률 단지는 점수순 선발 비중이 큽니다.
- Q. 소득이 오르면 어떻게 되나요?
A. 재계약 시점에 기준 초과 시 갱신 제한될 수 있습니다.
- Q. 다른 임대/분양 청약과 중복 신청 가능?
A. 일부는 제한될 수 있습니다. 중복 당첨 제한 조항을 공고문으로 확인하세요.
- Q. 전입 의무가 있나요?
A. 대부분 전입·실거주가 원칙입니다. 전대·무단 전출은 계약 해지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.
- 주민등록등본 / 가족관계증명서(또는 혼인·자녀 관련 증빙)
- 소득금액증명(근로/사업/기타소득), 건강보험 자격·납부 확인서
- 재직/재학증명서, 산단 재직 증빙(해당자)
- 예금·부동산·자동차 등 자산 증빙 서류
- 기타 공고문에서 요구하는 추가 서류(유형·단지별 상이)
댓글
댓글 쓰기